2011년 11월 21일 월요일

한국인이여, 일상에서 깨어나라!


2000. 10. 4
월아산방(月牙山房)에서 윤홍식 삼가 씀

새 천년을 맞이한 인류는 새로운 도전을 맞고 있다. 수천 년 간 골방에 감추어 두고 쉬쉬해오던 인간들의 추한 ‘욕망’의 쓰레기들이 걷잡을 수 없이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현 문명이 직면한 최대의 위기는 그러한 문제점들을 기존의 방식대로, 즉 단순한 이데올로기나 제도의 변혁을 통해 해결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정치ㆍ경제ㆍ환경ㆍ사회ㆍ교육ㆍ종교 등등 어느 분야 하나도 아픈 소리를 내지 않는 곳이 없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아파하고 소외감에 떨고 있는 것은 바로 우리의 ‘마음’ 들이다.

하지만 걱정만 할 일은 아니다. 이 혼탁한 탁류 속에서도 맑은 물결이 미미하지만 조금씩 그 힘을 키워가고 있다. 언젠가는 이 모든 탁류를 정화하리라는 신념으로 말이다. 그것은 바로 여러 성자(聖者)들의 가르침, 즉 인간 내면의 순수한 영혼인 ‘참 자아’의 회복에 대한 관심의 증폭이다. 최근 들어 이러한 추세는 더욱 커져만 간다. 어쩌면 이러한 새로운 기류가 인류사를 아주 획기적으로 변화시킬지도 모를 일이다. 암흑을 향해 가는 세계의 한 편에서 무수한 성자들의 가르침이 싹을 키워가고 있는 것이다.

여러 성자들은 말한다. 모든 문제의 주범은 결국 이 마음의 ‘개인적 욕망’이라고, 따라서 각자의 마음 안에서 작은 혁명들이 일어난다면 그것은 결국 이 현상계 전체의 변혁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이다. 모든 문제의 해법을 밖에서만 찾고 있는 우리들에게, 이러한 메시지는 우리 자신의 근본적인 변혁이 아니고선 다른 해법이 없음을, 그리고 그러한 변혁을 더 이상 미룰 수 없음을 전해 준다. 이 사회 곳곳에서 마주할 수 있는 이 ‘개인적 욕망’을 묵과한 채 어떻게 이데올로기와 제도의 개혁을 논한다는 말인가?

‘권력’이라는 것이 올바로 사용될 때, 그것을 문제 삼을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인류의 오래된 꿈은 참혹한 인권 유린 아니면 전쟁이라는 항상 비참한 결말로 끝을 맺어 왔다. 그것은 무엇 때문일까? 권력을 얻기 전까지는 항상 정론(正論)만을 펼치던 정치가들도 권력을 얻고 나면 달라진다. 그는 “사람들을 위해 내가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하기보다는 “어떻게 하면 ‘나’ 아닌 다른 사람들을 지배할 수 있을 것인가?”에만 골몰하게 된다. 이것은 바로 ‘권력욕’ 즉 ‘개인적 욕망’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욕망들은 다른 사람들을 위하기보다는 자신만을 사랑하라고 속삭이며, 남을 나처럼 사랑하라고 외치는 ‘참 자아’의 목소리를 말끔히 지워버린다.

노력 없는 부자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 지구상에는 인류가 먹고 쓸 충분한 재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이 소수를 위해서만 쓰이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되겠다. 그리고 그러한 일들을 부추기는 것이 바로 인간들의 한계를 모르는 ‘개인적 소유욕’이라는 사실도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주위의 헐벗은 사람들을 한 명이라도 도울 때 그 자신 또한 이루 헤아릴 수 없는 도움을 동시에 받는다는 사실을, 사람들은 쉽게 망각하며 생각하려고도 하지 않는다. 아주 개인적이고 지나고 보면 아무 것도 아닌 ‘개인적 욕망’ 때문에 말이다.

현실이 그렇다. 우리가 지금까지 이 역사를 유지해온 것도 실은 이 인류의 ‘욕망’ 때문이었다. 욕망이 없이 어떻게 지금과 같은 문명을 만들고 유지해 올 수 있었을 것인가? 자본주의가 공산주의에 승리한 것도 따지고 보면 인간의 그칠 줄 모르는 ‘욕망에 대한 경외’ 때문이었다.

‘욕망’은 살아있다. 그리고 그 ‘욕망’은 결코 ‘이데올로기’ 따위에게 지지 않는다. 그것은 왜인가? 그 이유는 매우 단순하다. 바로 욕망이 이데올로기의 주인이기 때문이다. 이데올로기 또한 욕망의 도구가 되어버린 ‘이념’이니, 인류는 그때그때 필요한 이데올로기들을 만들어내어, 그들의 욕망을 치장하였으며 더욱 빠르게 그것들을 충족시켜 왔던 것이다. 이것이 지금까지 주목되지 않았던 것은, 단지 사람들이 이러한 실상이 공개되는 것을 외면해 왔을 뿐이다. 

이러한 ‘욕망’이 만들어낸 모든 오래 묵은 습관, 못된 습관에서 자신의 마음을 정화하는 것, 그것이 우리가 모색해야 할 길이 아닐까? 그것만이 이 인류가 지금까지의 모든 굴레를 벗어 던질 수 있는 가장 간명한 비결이 아닐까? 그것은 인류 누구나 어렴풋이 알고 있으면서도, 쉽게 외면해 왔던 문제의 핵심일 것이다. 이제는 이러한 실상을 직시할 때다. 아무리 가슴이 아프고 피 눈물이 흐르더라도 이제는 묵은 때를 도려내야 한다!

우리가 모든 문제의 주범인 지극히 ‘개인적 욕망’을 정화하기 위해 항상 주의해야 할 것은, 자신의 마음이 각종 상황을 마주할 때마다 그 순간순간의 욕망에 맹목적으로 따라가느냐, 아니면 그 욕망들의 장난질을 깨어있는 정신으로 지켜보느냐이다. 모든 성자들은 말한다. 무엇보다 “항상 깨어있어라!”, “항상 알아차려라!” 그리고 “이미 지나버린 과거나 아직 오지 않은 미래에서 헤매지 말고, 항상 현존하는 ‘지금 이 순간’에 머물러야 한다!”고 말이다. 

혹자는 한 개인의 ‘욕망의 정화’가 전체 현상계에 무슨 힘을 발휘하겠는가 하고 의문을 표시할지 모르나, 그것 또한 고정관념일 뿐이다. 사회를 억지로 바꿀 수 있을까? 그 또한 결국 각종 이데올로기와 제도의 개혁으로 포장된 소수의 욕망일 뿐이지 않은가? 설사 그렇게 해서 우리의 삶이 바뀐다고 하여도 지금과 무엇이, 얼마나 달라질 것인가? 단지 인간의 욕망이 다른 방식을 빌어서 나타날 뿐이다. ‘욕망’ 자체를 정화시켜야 한다. 최소한 우리는 이러한 욕망의 장난질을 알아차려야 한다.

이 현상계를 현대 학문에서 ‘복잡계’라고 말한다. 복잡계란 항상 요동하며 어떤 하나의 논리에 규정되지 않는 개방된 세계를 말한다. 복잡계가 요동하는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인간의 ‘욕망’이 쉬지 않고 움직이기 때문이다. 욕망이 없는 현상계가 존재할 수 있을까? 멈추지 않는 인간의 욕망은 쉬지 않고 새로운 대상을 갈구한다. 또한 그 요구에 맞춰 끊임없이 새로운 제도ㆍ제품ㆍ이데올로기ㆍ종교 등이 현상계에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계는 욕망을 지배하는 법칙인 ‘카르마의 법칙’ 즉 ‘인과법칙’에 따라 움직인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카르마의 법칙의 전 과정을 완전히 파악하기에는 의식에 한계가 있다.

우리는 현상계의 제 현상들 간의 관계를 단 하나의 원인과 결과로 설명할 수 없다. 이 우주에는 너무도 많은 원인이 있고 너무도 많은 결과가 있다. 우리는 그것들을 인간의 ‘주관적인 해석’으로 파악할 뿐이다. 이러한 요인 때문에 아무리 완벽한 설계도를 그리고 계획을 짠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그대로 현실화되는 일이 극히 드믄 것이다.

그러나 반면에 이러한 복잡하고 모순적인 현상계는, 우리가 보기에는 너무도 미미해 보이는 아주 작은 몸짓에 의해서도 일파만파(一波萬波)가 되어 언제든지 전체가 하루아침에 뒤바뀔 수도 있는 것이다. 단 그것이 주변으로 공명(共鳴)하여 퍼질 수 있는 에너지가 있다면 말이다. 그것이 이 끊임없이 요동하는 현상계의 특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계에서 먼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그다지 큰 의미가 없다. 상황은 계속해서 변해 갈 뿐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순간순간의 변화가 갖는 변화의 낌새를 ‘통찰’하는 것이다. 양명(陽明)선생은 ‘앞날의 예측’에 대해 물어오는 제자에게, “그러한 의도 자체가 욕망의 소산일 뿐이다!”라고 질책한 뒤, “순간순간의 낌새를 알아차려라!”고 하였다. 그는 이 현상계가 요동하는 복잡계임을 잘 알고 있었던 것이다. 

한 개인이 자신의 ‘욕망’을 정화하여 순수한 ‘본래의 마음’으로 돌아 갈 때, 그 순수한 ‘영혼의 빛’은 주위에 퍼질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빛은 또 다른 빛의 존재를 일깨울 것이다. 그리고 어느 순간 이 지구 전체가 온통 빛으로 물들게 될 날이 올지도 모르는 일이다. 그리고 그러한 순간은 우리가 예상하는 것 보다 훨씬 빨리 이 현상계에서 이루어 질 수지도 모른다. 그러기 위해선 무엇보다 우리는 인류정화의 최대 적인 우리 자신의 ‘개인적 욕망’을 정화해야 한다. 개인적 욕망들을 ‘대아적 원願’으로 전환시켜야 한다.

우리가 우리 자신의 마음 안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조그만 혁명들을 철저히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변화하기 시작할 것이다. 그리고 그 이해의 깊이에 따라, 체험의 깊이에 따라 그만큼의 빛을 자신의 주위에 내뿜기 시작할 것이다. 이것은 비단 우리나라에 국한 될 것이 아니다. 이러한 빛은 지구 전체를 변화시킬 것이다. 태양의 빛을 누가 막을 수 있겠는가?

‘사심私心’이 있는 것은 오래가지 못한다. 하지만 태양의 빛은 사심이 없다. 그것은 그냥 뿜어져 나올 뿐이다. 태양처럼 사심 없는 빛을 뿜어 낼 수 있는, 빛의 존재’들이 많아진 사회에서 더 이상 옛 제도와 옛 관습ㆍ옛 이데올로기는 통하지 못할 것이다. 이미 사회 전체가 질적으로 달라져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개개인의 자발적 변화가 사회 전체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하지만 전체가 변하기 위해서는 우선 ‘한 사람’이 변해야 한다. 그리고 그 ‘한 사람’은 바로 ‘우리 자신’이 되어야 할 것이다. 주위를 둘러보지 말자. 나부터 변화하자!   

2011년 11월 20일 일요일

[윤홍식의 주역 강의] 2.설괘전(說卦傳) 2절


윤홍식의 주역강의#2 - 설괘전[說卦傳] 2절 from 曉檀 on Vimeo.


주역강의 2강입니다.

당초 1강만 과정진행 안내차원에서 소개드린다고 했었는데
2강을 진행하고 나니 학당분들이 주역이 어떤 것인가 하는 이정도의 느낌은 모두 가지고 계셨으면 싶어 추가로 올렸습니다.^^

처음 접하시는 분들에게는 생소하기도 하고, 다른 강의와의 차별성도 느끼기 힘드실 수 있으시겠지만 학당의 강의가 항상 그래왔듯이 주역마저도 그대로 하나로 꿰어지는 것을 보고 있으면 짜릿함 마저도 느껴집니다. 오히려 다른 곳에서 주역 강의를 들어보셨던 분께서는 저와 같은 느낌으로 공감을 하시더군요.

뒷부분에서는 주역을 넘어서는 철학적 배경으로서의 천부경 철학에 대한 소개 및 향후 진행계획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소개를 해주시고요.

주역이 최소한 이정도는 되어야 공자님이 그토록 열심히 공부하셨다고 할만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1강 동영상은 다음에 있습니다.

[출처] 주역강의 2강 (홍익학당) |작성자 효단

2011년 11월 8일 화요일

[윤홍식의 주역 강의] 1. 설괘전

조선 문화센터에서의 주역강의를 10주에 걸쳐 마치고
학당에서 주역강의를 시작했습니다.

대략 1년에서 2년 정도로, 시한을 정하지 않고
가능한 상세하게 살펴보자고 시작을 했는데

워낙에 방대한 내용이라서 걱정이 되기도 하지만
많은 기대가 됩니다.

설괘전은 주역의 첫 입문으로서 중요한데 잘 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2011년 11월 4일 금요일

[윤홍식의 채근담 강의] 11. 담박함을 즐겨라


11. 담박함을 즐겨라


명아주를 먹고 비름나물로 창자를 채우는 자는
얼음처럼 맑고 옥처럼 정결함을 귀중히 여기나,

비단옷을 입고 좋은 음식을 먹는 자는
종처럼 굽실거리고 노비처럼 비굴한 얼굴을 하는 것을 달게 여긴다.

대개 담박한 삶을 살면 뜻이 광명해지며,
기름지고 단 것을 좇으면 절개를 잃게 된다.

藜口莧腸者 多氷淸玉潔
袞衣玉食者 甘婢膝奴顔
蓋志以澹泊明 而節從肥甘喪也(전집-11장)
 
 
명아주나 비름나물은 산이나 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나물들입니다.

이러한 나물을 즐겨 먹는 사람들은,
자신이 현재 가진 것에 만족할 줄 아는 사람들이며,
양심에 위배되는 욕망을 절제할 줄 아는 사람들입니다.

양심에 위배되는 한이 있더라도
기름진 음식과 화려한 옷을 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양심보다 자신의 욕망을 중시하는 사람들입니다.

욕망은 양심을 고려하지 않으니
양심이 심하게 가려져 있어서,
남에게 피해를 주더라도
자신의 욕망이 성취되기만 한다면 꺼리는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자신보다 더 부귀를 누리는 자들에게 늘 비굴합니다.
그들에게는 자신이 갖고자 하는 물건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에게 잘 보이고자 늘 얼굴에 가면을 쓰고 있으며
자세나 몸짓 하나까지도 비굴함이 가득합니다.

자신에게 이득이 되는 것을 가진 자들에게
어찌 당당할 수 있겠으며,
어찌 양심과 정의를 주장할 수 있겠습니까?
 

그래서 [논어]에서 공자님께서
“거친 밥에 물마시고 팔베개를 하고 누웠어도
그 속에 ‘즐거움’이 있도다.
정의롭지 않은 부귀는 나에게 뜬 구름과 같다”라고 하신 것입니다.

정의롭지 않은 부귀,
즉 양심을 위배하고 남에게 피해를 주고서 얻는 부귀는
군자에게는 의미가 없다는 것입니다.


군자는 남다른 고통을 즐기는 변태가 아닙니다.
화려한 옷이 좋은 것을 몰라서 입지 않는 것도 아니고,
기름진 음식의 맛을 몰라서 먹지 않는 것도 아닙니다.

그들은 단지 ‘정의’를 위배하면서까지
그것들을 추구하지 않을 뿐입니다.
  
[맹자]에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물고기 요리도 내가 좋아하는 것이며, 곰발바닥 요리도 내가 좋아한다.
그런데 두 가지를 한꺼번에 먹을 수 없다면,
나는 물고기 요리를 버리고 곰발바닥 요리를 취할 것이다.

생명 또한 내가 좋아하는 것이고, 정의 또한 내가 좋아하는 것이다.
그런데 두 가지를 한꺼번에 얻을 수 없다면,
나는 생명을 버리고 정의를 취할 것이다.”

군자라고 음식의 맛을 모르며,
명품이 좋은 것을 모르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정의’를 실천하는 것을 더욱 즐길 뿐입니다.
‘불의’를 미워하기를 죽기보다 미워할 뿐입니다.

그러니 정의로운 삶을 통해 얻어지는
명아주와 비름나물을 참으로 즐길 줄 아는 자는,
당연히 맑고 정결함을 귀하게 여기는 자입니다.

얼음처럼 투명하고 옥처럼 정결한 ‘양심’ 그대로의 삶을 
진심으로 즐기는 자가 아니라면,
어찌 나물반찬에서도 희열을 맛볼 수 있겠습니까?

순수한 양심을 즐기는 군자가 아니라면,
어찌 이러한 담박한 삶을 즐길 수 있겠습니까?

우리의 에고는 담박한 맛을 참으로 싫어합니다. 
그래서 늘 자극적인 맛을 찾아 천지를 헤맵니다.

그러나 군자는 그렇지 않으니,
담박하여 맛이 없는 맛을 즐깁니다.    
에고는 불만족하나 참나는 만족합니다.

에고는 자극적인 맛에서 희열을 느끼나,
참나는 양심적인 삶에서 희열을 느낍니다.
그러니 담박한 삶은 인심을 굶주리게 하나
양심을 더욱 드러나게 해줍니다.

만약 반대로 정의롭지 못한 부귀라 하더라도
이를 가리지 않고 탐하는 인심이 우리를 지배한다면,
그는 필시 양심을 지키는 곧은 절개를 잃어버리게 될 것입니다.
참으로 만고에 처량한 신세가 되고 말 것입니다.
 
오직 양심을 지키는 삶을 사는 것을
화려한 옷과 기름진 음식보다 더 즐기는 군자라야,
부귀영화를 누리는 자에게 당당할 수 있습니다.

정의롭지 못한 부귀는 군자가
갖고 싶고 즐기고 싶은 것이 아닙니다.
그러니 그들에게 비굴해질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