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0월 23일 일요일

[윤홍식의 논어 강의] 증자의 3가지 반성(1-4)

1 증자가 말하길
“나는 하루에 세 가지로 나 자신을 반성한다.
① 남을 위해 도모함에 충심으로 하지 않았는가?
2 ② 벗들과 사귐에 신뢰를 어겼는가?
3 ③ 스승에게 전수받은 학문을 익히지 않았는가?”라고 하였다.

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1-4)



1 증자가 말하길
“나는 하루에 세 가지로 나 자신을 반성한다.
① 남을 위해 도모함에 충심으로 하지 않았는가?

증자는 공자의 학문을 충실히 계승하여
그 도통을 이은 제자입니다.
증자가 매일 자신을 반성한 것이
다음의 3가지 사항입니다.

내가 당해서 싫었던 일을 가하지 않고
내가 받아서 좋았던 일을 베풂에 있어서 충심이었던가?
② 벗들과 사귐에 있어서 신의를 지켰던가?
③ 선생님께서 전수받은 학문을 수시로 익혔던가?

이 3가지를 매일 반성하였기에,
“증삼은 노둔하도다!”(參也魯, [논어])라는
공자님의 지적에도 불구하고
그의 도통을 계승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사정은 [논어]에 잘 나와 있습니다.
“공자님께서 말씀하시길
‘증삼아 나의 도는 하나(一)로 꿰뚫어져 있다’
(吾道一以貫之)라고 하셨다.
증자가 말하길 ‘예’라고 하였다.

공자님께서 나가시자 문인들이 증자에게
‘무엇을 말씀하신 것입니까?’라고 물었다.
중자가 대답하기를 ‘선생님의 도는 충심으로
서恕를 하는 것일 뿐이다‘라고 하였다.”

공자님께서 추구한 도는 ‘충서忠恕’ 즉
나와 남을 똑같이 여기는(如) 마음(心)의 실천을
충심으로(忠) 실천하는 것이었을 뿐입니다.

공자님께서 평생을 통해 한결같이 걸으신 길은
오직 ‘양심’의 온전한 복원이었을 뿐입니다.

① 나와 남을 하나로 보고
남의 아픔을 나의 아픔으로 아파하며(측은지심)
② 나와 남을 나누어 보고
남의 아픔에 무심한 것을 부끄러워하며(수오지심),

③ 나와 남이 본래 하나임을
자명하게 알아서 의심이 없으며(시비지심)
④ 실제 행동에 있어서도
늘 남을 나와 둘로 보지 않고 배려하며(사양지심)
⑤ 언제 어디서나 이러한 4가지 양심을
실천하고자 노력한 것(성실지심),

오직 이 5가지의 실천만이
우리의 양심이 진심으로 원하는 것이며,
우리 양심을 온전히 복원하는 방법입니다.

공자님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신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자공이 묻기를 ‘한 마디 말로서,
종신토록 행해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라고 하자,
공자님께서 말씀하시길 ‘그것은 서恕이니,
내가 하고 싶지 않은 일을
남에게 가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하셨다.”([논어])

그래서 증자는 이 ‘서恕’의 실천을
가장 우선하여 반성하였던 것입니다.
나머지 두 가지 반성의 내용 역시
이 서恕 즉 ‘역지사지’의 실천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마태복음](7 : 12)에서 예수님께서
“남이 그대들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대로
그대들도 남에게 해 주어라.
이것이 율법과 예언서의 골자이다”라고 하였듯이, 
이 ‘역지사지’의 실천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으니까요.

2 ② 벗들과 사귐에 신뢰를 어겼는가?

이는 증자가 두 번째 반성해본 내용으로,
남의 입장을 자신의 입장처럼 헤아려보는 ‘역지사지’를
자신의 도반인 ‘벗’에게 적용하여 보고,
이를 통렬하게 반성해보는 것입니다.

벗은 나의 양심의 확충이
온전해지도록 도와주는 도반입니다.

벗과 인간관계를 맺음에 있어서
신의가 있었는가?
벗의 신뢰를 저버린 일을 하지는 않았던가?

이를 반성해보아 부끄러움이 없어야 합니다.
그래야만 우리의 덕행도
한 걸음 나아갈 수 있습니다.

만약 벗의 신의를 저버렸다면,
우리는 양심을 온전하게 계발할 수 있도록 도와줄
최고의 도반을 잃게 될 것입니다.

3 ③ 스승에게 전수받은 학문을 익히지 않았는가?”라고 하였다.

나와 남을 둘로 보지 않고,
내가 당해서 싫었던 일을 가하지 않으며
내가 받아서 좋았던 일을 베푸는 것은,
스승이신 공자님께서 종신토록 추구하신 바입니다.

그러니 스승의 가르침도,
첫 번째 반성의 내용이던
“남을 위에 도모함에 충심으로 하였는가?”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우리 내면의 순수한 마음인
‘양심’을 다시 밝혀내도록 인도하는,
스승의 가르침들을 매일 새롭게 떠올리며,

오늘 하루, 스승의 가르침을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익힘(習)의 공부’를 게을리 하지는 않았는지,
냉정히 반성해보아야 합니다.

아무리 스승의 가르침이 탁월하고,
그 스승이 공자님ㆍ부처님이라고 하더라도,
전수받은 가르침을 스스로 익히지 않고서는
결코 우리의 양심을 온전히 밝힐 수 없습니다.

물론 이러한 반성은
마음이 활짝 깨어있는 상태인,
고요하고 평온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래야만 긍정적인 결과를 불러오는
반성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마음이 산란하거나 우울할 때 행하는 반성은
자칫 자책과 좌절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깨어있는 마음으로 행하는
하루하루의 긍정적인 반성은,
우리 내면의 ‘양심’을 날로 밝혀줄 것입니다.
그리하여 장차 성인의 경지에 나아가게 해줄 것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